‘수능 성적 발표’ 제2외국어·한문 영역 중 아랍어 I 지원자 71.1%…편중 현상 극심

‘수능 성적 발표’ 제2외국어·한문 영역 중 아랍어 I 지원자 71.1%…편중 현상 극심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아랍어 편중 현상이 갈수록 심해져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7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2017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보면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 아랍어 I을 지원한 응시자는 5만 2천626명으로 71.1%에 달했다.

이는 제2외국어·한문 응시자 가운데 10명 중 7명이 아랍어 시험을 본 것으로, 지난해 아랍어 응시자 비율 52.8%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선택형 수능체제가 도입된 2005학년도부터 수능에서 아랍어 과목이 추가됐다.

2005학년도 첫 해만 해도 아랍어 응시자는 중동 지역에 살다온 학생 등을 위주로 531명에 불과했으며, 본 수능에 앞서 실시된 9월 모의고사에서는 아랍어 응시생이 단 1명에 그치기도 했다.

이 같이 초기에 아랍어는 외면 받는 과목이었으나 오히려 그 점이 학생들을 끌어 모으는 요인이 됐다.

아랍어 과목이 ‘지원자도 많지 않은데 조금만 공부하면 쉽게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실제 2005학년도 첫 해에 531명에 그쳤던 응시생은 이듬해 수능에서 2,184명, 2007학년도 5072명, 2008학년도 13,588명, 2009학년도 29,278명 등 매년 폭발적인 증가율을 보였다.

심지어 지난해 수능에서 아랍어 응시자가 전체의 절반을 넘어선데 이어 급기야 올해 수능에서는 70%를 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다른 제2외국어 과목 지원자는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어 8.1%(5,987명), 중국어 5.4%(3,982명), 베트남어 I 4.9%(3,613명), 한문 I 4.3%(3,147명) 등이며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등은 응시비율이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제기관인 평가원도 학생들이 오로지 점수를 위해 아랍어를 선택하는 비정상적 상황에 대한 문제점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이용상 평가원 수능 기획분석실장은 “‘아랍어 로또’ 보도가 나오고 있어 학생들이 이왕이면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아랍어를 선택하자는 심리로 편중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수능에서 해결하기보다는 교수·학습 측면에서 중장기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박리환 rpm9_li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