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가연, 기혼 대상 '결혼식 시간대' 분석

자료 : 가연결혼정보
자료 : 가연결혼정보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최근 '2025 하반기 연애·결혼 인식 조사'를 통해, '결혼식 시간대'에 대한 자료 결과를 발표했다. (2539 기혼남녀 500명, 오픈서베이 진행, 6월 18~25일,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38%P)

먼저 예식을 한 이들은 90.4%로 성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연령별 차이는 눈에 띄었다. 30대는 진행과 미진행이 각각 93.1%, 6.9%인데 비해, 20대는 84.9%, 15.1%로, 예식을 생략한 20대의 비율이 높았다. 젊은 세대일수록 결혼식을 필수로 보지 않고, 집 마련이나 신혼 여행 등에 투자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시간대'는 '주말 또는 휴일 오후(60.4%)', '주말 또는 휴일 오전(31.9%)', '주말 또는 휴일 저녁(5.3%)', '평일 오전'과 '평일 오후' 각각 1.1%, '평일 저녁'은 0.2%에 그쳤다. 평일보다는 주말, 오전과 저녁보다는 낮 오후 시간대의 인기가 높았다.

'시간을 정할 때 고려한 것'은 '지인·하객들이 편하게 참석할 수 있는 시간대'와 '식장 예약이 가능한 시간대'가 각 61.1%, 60%로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 '부모님·친지의 일정에 맞춘 시간대(33.6%)', '신랑·신부의 당일 일정에 맞춘 시간대(31.2%)', '예산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간대(23.5%)' 순이었다. 기타(1.8%)는 '코로나 이후 남는 시간대 예약', '사주 궁합에 맞춰서' 등의 답변이 있었다. (1~3순위 택)

2015년의 가연 조사를 보면 '하객 관점에서 가장 적당한 시간대'는 '오후 1시(65%)' 선호가 과반수, '오전 11시(23%)', '오후 3시 이후(8%)', '상관없다(2%)' 순이었다. 여전히 주말 오후가 최적의 시간대로 꼽혀, 10년이 지나도 생활 방식이나 인식이 크게 변하지는 않았음을 말해준다. (대상: 미혼남녀 350명)

가연결혼정보 노애숙 커플매니저는 “결혼식 시간은 보통 신랑·신부의 선호보다 예식장의 예약 상황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보통 하객의 이동 시간과 피로도, 식사 편의성 등 요소를 고려해 정한다”라며 “혼인 건수는 조금씩 상승하는 반면 코로나 이후 예식장 폐업은 늘어나, 인기 있는 시간대는 예약 경쟁도 치열한 편이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결혼정보업체 가연의 무료 상담 예약은 대표 전화와 네이버 플레이스, 카카오톡 오픈채팅 등으로 가능하다.

임민지 기자 minzi56@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