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3당 대표 회동’ 탄핵 일정 합의 실패, 1일 발의 및 2일 표결 불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1일 발의 및 2일 본회의 표결이 무산됐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이탈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야3당이 탄핵 일정을 놓고 합의에 실패해 야권 탄핵 전선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대통령 탄핵안 발의를 위해서는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인 151명의 의원이 필요하며 탄핵안은 발의 후 첫 본회의 보고로부터 24∼72시간 범위에서 표결해야 한다.
오늘 오후 국회 의원식당에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회동해 탄핵안 일정 조율을 시도했지만 결국 합의를 보지 못했다.
추 대표와 심 대표는 ‘탄핵안 1일 발의 및 2일 본회의 표결’을 거듭 주장했으나 박 위원장은 가결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9일 본회의 처리’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위원장은 2일 야3당이 공동으로 탄핵안을 발의한 후, 그로부터 첫 본회의인 8일 보고하고 9일 표결하자는 중재안도 제시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추 대표는 회동 후 이와 같은 입장차를 확인하고 기자들에게 ‘9일 표결 시도’에 대해서는 “9일 문제는 다시 논의해야 할 사항”이라며 “어제 야3당이 일차적으로 2일 처리를 약속드렸기 때문에 그것을 모여 논의하는 자리였는데 국민의당이 거절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양심세력으로서 새누리당에 (탄핵 참여) 촉구를 계속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마찬가지”라며 “그건 헌법상의 책무”라고 전했다.
한편 박 비대위원장은 “내일 본회의가 열리면 야3당 공동으로 탄핵안을 발의해 9일 표결하면 된다는 안을 제시했으나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오늘 발의해야 한다고 해 쳇바퀴가 돌았다”며 “거듭 말하지만 발의가 목적이어선 안되며 가결이 목적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9일은 가결이 보장되느냐’고 하는데 그 역시 불투명하다. 촛불과 여론을 보면서 비박의 태도변화도 지켜보면서 9일 날 하자는 것이 국민의당의 안이고, 두 당에서는 ‘오늘 해야만 한다’고 한 것”이라며 “9일이 적기”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다만 여당의 ‘4월 퇴진-6월 대선론’에 대해서는 “그것은 우리가 지금 얘기할 게 아니다”며 “우리는 ‘대통령이 그 안을 안 받을 것이다. 비박 당신들 속지 말고 빨리 (탄핵 대열로) 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심 대표는 “2일도, 9일도 불확실하다는 데는 다 동의했는데, 9일의 불확실성이 크다. 이미 공이 비박계한테 가 있는데 무슨 재주로 비박계를 설득하느냐”며 “야3당이 주도해야 할 국면을 비박계에 주도권을 넘겨주는 상황에 대해 몹시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앞서 야3당 대표는 전날 회동에서 박 대통령의 조건 없는 하야를 촉구하며 박 대통령이 제3차 대국민 담화에서 제안한 임기 단축을 위한 여야 협상을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
박리환 rpm9_li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