휜다리 관리, 소아기부터 체형교정 노력 필요

휜다리 관리, 소아기부터 체형교정 노력 필요

전국적으로 때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사람들의 옷차림도 한층 가벼워졌다. 미니스커트나 핫팬츠 등을 즐겨 입는 여성들 외에도 반바지 차림의 남성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리가 곧지 못한 휜다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요즘 같은 한여름 날씨가 반갑지만은 않다.

무릎관절 각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모양의 휜다리, 즉 각변형은 유전적인 원인도 있지만, 다리를 꼬거나 무릎을 꿇고 앉는 등 잘못된 자세, 생활습관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를 제때 교정하지 않을 경우 각종 척추 관절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신승호 노원더고든의원 원장은 “휜다리를 가진 이는 무릎관절 안쪽에 체중이 실려 무릎 안쪽 관절연골이 빨리 달아 퇴행성관절염과 척추와 골반이 틀어져 척추측만증 등 척추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높다”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소아기부터 체형교정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증상을 가진 환자들을 살펴본 결과 O자형 다리로 태어나 이후 X자형으로 변형됐다가 만 7세 정도가 되어서 바로 잡히는 경향이 짙다”며 “휜다리 증상이 만 7세 이후에도 계속된다면 전문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교정치료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신 원장에 따르면 휜다리는 성인기보다는 관절이 유연한 소아기 때 치료하는 게 효과적이다. 정밀 체형분석검사, 보행검사, 고관절 무릎기능검사와 하지근육 평가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이뤄지면 환자의 상태와 연령 등을 고려해야 체형교정에 필요한 다양한 치료방법이 적용된다.

신승호 원장은 “교정방법은 각 개인마다 달라지며 무엇보다 정확한 원인과 그에 알맞은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며 “장시간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 있거나 엎드려서 자는 등 잘못된 생활습관을 버리지 못한다면 치료가 어려운 만큼 평소 체형교정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팀 (rpm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