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ENT 인터뷰] ‘꽃의 파리행’ 구선아 작가! 나혜석의 여행기를 묶어 책으로 출간하다

조선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이자 페미니스트라 불리는 나혜석. 이외 작가, 언론인, 독립운동가로도 불리는 나혜석은 수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이혼고백장’, ‘모된감상기’ 등의 파격적인 글과 행보로 유명하다.
 
그런 나혜석의 글 중 여행기를 묶어 한 권의 책으로 출간됐다. 여성의 삶이 아닌 예술가의 삶을 산 나혜석의 1년 8개월간의 구미유람기 ‘꽃의 파리행’이다. ‘꽃의 파리행’은 서울의 동네서점 최초의 가이드북 ‘여행자의 동네서점’과 제주의 책방을 여행하고 쓴 ‘바다 냄새가 코 끝에’를 쓴 구선아 작가가 엮었다.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이하 구선아 작가와의 일문일답
 
Q1. ‘꽃의 파리행’을 소개해주세요.
 
‘꽃의 파리행’은 나혜석이 1920년대 말 1년 8개월 동안 유럽과 미주를 탐방하고 쓴 신문 기고 글을 모은 책이에요.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라 도시, 도시에서의 삶, 여성의 생활, 가정의 문화 등 그 시대의 다양한 모습을 기록한 글을 엮고 재구성한 책입니다.
 
Q2. 책 제목은 어떤 의미인가요?
 
나혜석이 1933년 ‘三千里[삼천리]’에 파리행 수기를 쓴 글 제목이 ‘꽃의 파리행’이에요. 제목에 관해 별도 설명은 없지만 중의적 의미로 보여요. 꽃처럼 화려한 파리라는 의미도 있고, 본인을 꽃이라 칭한 것으로 볼 수도 있어요. 새로운 제목을 부치기보다는 나혜석이 직접 지은 제목이라면 더 의미 있을 것이고, 더군다나 세계 유람의 목적이었던 파리가 잘 드러나서 부치게 되었어요.
 
Q3. 표지가 아주 예쁩니다. 제목과도 잘 어울리고요.
 
나혜석의 그림이 많이 남아 있지는 않은데 그중 한 작품이에요. 표지 그림은 나혜석이 스페인 항구를 그린 그림이에요. 파리 그림도 있지만, 이 그림이 책 제목과도 내용과도 가장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Q4. 이전에도 나혜석의 책이 출간되었는데 어떤 점이 가장 다른가요?
 
나혜석의 책은 소설, 수필, 이혼고백서 그리고 여행기까지 다양하게 여러 번 출간되었어요. 하지만 이번 ‘꽃의 파리행’이 가장 다른 점은 1년 8개월간의 시간을 보내고 조선에 돌아와 느낀 감정과 생활을 담은 글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 1년 8개월 시간이 나혜석의 인생관과 예술관을 바꾸었거든요.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행기는 마지막 목차 ‘아아, 자유의 파리가 그리워’를 읽기 위해 읽어야 하는 글이라는 생각도 들어요.
 
Q5. 나혜석에 관해 관심을 가진 건 어떤 계기가 있었나요?
 
제가 예전부터 근대소설에 관심이 많았어요. 박태원, 이상, 윤동주 등의 글을 먼저 접했고 그들의 주변, 연계된 사람들, 그 시절의 글을 읽게 되었죠. 자연스럽게 나혜석의 소설과 글을 읽게 됐어요. 처음엔 그냥 할 말 하는 신여성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여러 글을 읽으면 읽을수록 놀랍더라고요. 특히 근대 도시와 전통사회에서 도시에서의 삶을 객관적으로 읽는 시선이 좋았어요.
 
Q6. 도시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요. 지금 도시인문학 서점도 운영하고 계시고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제가 학부 땐 건축을, 그 다음엔 공간디자인을, 지금은 도시사회학을 공부하고 있어요. 처음엔 건축으로 시작해서 점점 도시와 도시에서의 삶에 관심이 커졌어요. 그래서 근대소설이나 한국소설 중에도 특정 도시나 장소에 관한 이야기에 더 흥미를 느껴요. 제가 쓰는 글도 읽는 글도 도시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요.
 
그리고 홍대 인근에서 작은 독립서점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독립출판물을 일부 다루고, 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책도 소개하지만 도시에서 개인이 풍요롭게 살 수 있는 일들을 함께하고 싶어서 도시인문학 서점이라 이름 붙였어요.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꽃의 파리행’. 사진=알비 제공

Q7. 어떤 분께 ‘꽃의 파리행’을 추천하나요?
 
모든 여성분께 추천합니다. 여성주의 글 모음은 아니지만 여성으로서의 고뇌와 예술가로서의 고민이 잘 드러난 글입니다. 특히 지금과 별반 다를 것 없는 안목과 식견, 철학이 매우 흥미로울 겁니다. 그리고 여행기와 에세이를 좋아하는 분께도 추천합니다. 솔직히 요즘 출간되는 세계여행기와 비교해도 세련된 감각을 가졌어요.
 
Q8. 마지막으로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 책을 통해 예술가로서, 문학가로서, 인간으로서의 나혜석을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도 이번 작업을 통해 개인으로서 살며 자신의 감각을 깨우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일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란스럽고 화려하기보다는 나 자신을 잊지 않고 살았으면 합니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