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
- [ET-ENT 영화] ‘장사리 : 잊혀진 영웅들’ 기록은 역사적 기록과 정서와 감정의 기록을 모두 포함한다
![[ET-ENT 영화] ‘장사리 : 잊혀진 영웅들’ 기록은 역사적 기록과 정서와 감정의 기록을 모두 포함한다](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9/24/article_24112350116492.jpg)
- 곽경택, 김태훈 감독의 <장사리 : 잊혀진 영웅들(Battle of Jangsari)>은 인천상륙작전의 양동 작전인 장사상륙작전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평균 나이 17세, 단 2주의 훈련 기간, 역사에 숨겨
- 천상욱 기자2019.09.25
-
- [ET-ENT 영화] ‘퍼펙트맨’ 복수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용서를 받고 싶었던 것일까?
![[ET-ENT 영화] ‘퍼펙트맨’ 복수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용서를 받고 싶었던 것일까?](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9/18/article_18093126632116.jpg)
- 복수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용서를 받고 싶었던 것일까? “담배 연기든 뭐든 오래 담아두면 탈난다”라는 영기(조진웅 분)의 대사는 영화의 정서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전체적인
- 천상욱 기자2019.09.18
-
- [ET-ENT 영화] ‘애드 아스트라(Ad Astra)’ 저 멀리 우주에 다녀와서 느낀, 가까운 사람들과 의지하며 사는 삶의 가치
![[ET-ENT 영화] ‘애드 아스트라(Ad Astra)’ 저 멀리 우주에 다녀와서 느낀, 가까운 사람들과 의지하며 사는 삶의 가치](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9/10/article_10233253056488.jpg)
- 제임스 그레이 감독의 <애드 아스트라(Ad Astra)>는 브레드 피트가 주연 및 제작한 작품으로 이목을 끈다. SF 우주영화로 볼거리를 제공하면서도,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성, 가까운 사람들과 의지하며 사는 삶
- 천상욱 기자2019.09.11
-
- [ET-ENT 영화] ‘플레이모빌: 더 무비’ 호기심, 자극추구를 원하는 아이들의 심리를 공감하고 이해한 애니메이션
![[ET-ENT 영화] ‘플레이모빌: 더 무비’ 호기심, 자극추구를 원하는 아이들의 심리를 공감하고 이해한 애니메이션](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9/04/article_04140821695179.jpg)
- 리노 디살보 감독의 <플레이모빌: 더 무비(Playmobil: The Movie)>는 전혀 상상할 수 없었던 진짜 장난감 세계에 빠지게 되며 벌어지는 토이 어드벤처 애니메이션이다. 감독이 “디즈니에서 배운 모든 걸
- 천상욱 기자2019.09.04
-
- [ET-ENT 영화] ‘원더랜드’(7) 준의 엄마는 준에게 거울 자기대상, 이상화 자기대상이면서 동시에 쌍둥이 자기대상
![[ET-ENT 영화] ‘원더랜드’(7) 준의 엄마는 준에게 거울 자기대상, 이상화 자기대상이면서 동시에 쌍둥이 자기대상](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14/article_14080207025213.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심리학자 하인즈 코헛(Heinz Kohut)의 ‘자기대상(self object)’ 개념을 적용하면, 딸인 준과 엄마와의 관
- 천상욱 기자2019.08.14
-
- [ET-ENT 영화] ‘원더랜드’(6) 준의 멸절, 참 자기와 거짓 자기! 준의 엄마와 준은 모두 충분히 좋은 엄마?
![[ET-ENT 영화] ‘원더랜드’(6) 준의 멸절, 참 자기와 거짓 자기! 준의 엄마와 준은 모두 충분히 좋은 엄마?](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12/article_12145734108647.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서 엄마가 병 치료를 위해 집을 떠난 후 딸인 준은 세상이 없어진 것 같은 막막함에, 원더랜드의 존재 자체도 부정하려고 한다.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 천상욱 기자2019.08.12
-
- [ET-ENT 영화] ‘원더랜드’(5) 대상관계이론, 멜라니 클라인의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
![[ET-ENT 영화] ‘원더랜드’(5) 대상관계이론, 멜라니 클라인의 투사와 투사적 동일시](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10/article_10082221169589.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 관계성에 중심을 둔 심리학 이론인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중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의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
- 천상욱 기자2019.08.10
-
- [ET-ENT 영화] ‘원더랜드’(4) 딸인 준의 ‘리비도적 자아’와 ‘반리비도적 자아’
![[ET-ENT 영화] ‘원더랜드’(4) 딸인 준의 ‘리비도적 자아’와 ‘반리비도적 자아’](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09/article_09081240744221.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심리학자 로날드 페어베언(W. Ronald D. Fairbairn)의 ‘분열성 양태(split position)’ 모델을 적용하면,
- 천상욱 기자2019.08.09
-
- [ET-ENT 영화] ‘원더랜드’(3) 게슈탈트 심리학! 딸인 준의 미해결과제는?
![[ET-ENT 영화] ‘원더랜드’(3) 게슈탈트 심리학! 딸인 준의 미해결과제는?](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07/article_07222307609716.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서 준은 어릴 적부터 엄마와 함께 자신만의 테마파크를 만드는 것이 취미인 장난기 많고 상상력 풍부한 소녀였다.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
- 천상욱 기자2019.08.07
-
- [ET-ENT 영화] ‘원더랜드’(2) 수용전념치료(ACT), 개념화된 자기 vs. 맥락으로서의 자기
![[ET-ENT 영화] ‘원더랜드’(2) 수용전념치료(ACT), 개념화된 자기 vs. 맥락으로서의 자기](http://img.etnews.com/news/article/2019/08/06/article_06113943853288.jpg)
- 딜런 브라운 감독의 <원더랜드(Wonder Park)>에서 딸인 준은 자극추구를 원하고, 엄마는 그런 딸을 인정한다.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의 ‘수용(Acceptance)&rs
- 천상욱 기자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