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9

라이프
HOME > 라이프

여성 평균 초혼연령 첫 30대 진입에 이어 가임여성 비중 절반 아래로 ‘뚝’

발행일 : 2016-12-13 17:25:00

여성 평균 초혼연령 첫 30대 진입에 이어 가임여성 비중 절반 아래로 ‘뚝’

여성 평균 초혼연령이 30대에 진입했으며, 전체 여성 인구 가운데 가임여성 비중이 절반 아래로 내려갔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 일‧가정양립 지표’를 보면 올해 가임연령에 해당하는 15~49세 여성은 1265만 6000명으로 전체 여성 인구의 49.5%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02년 이후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로 50% 밑으로 내려간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또한 작년 여성 평균 초혼연령은 30.0세로 나타나 사상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시기가 늦춰지면서 지난해 30~34세의 1천명 당 출산율이 116.7명까지 치솟으며 다른 연령대보다 가장 높았던 반면, 25~29세는 역대 최저치인 63.1명으로 내려갔다.

이어 작년 총 출생아 수는 43만 8000명으로 전년보다 2985명 증가에 그쳤다.

또한 15~49세 기혼 여성이 희망하는 자녀 수는 평균 2.3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을 기준으로 40‧50대 절반 이상이 맞벌이 가구였으며, 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47.3%으로 집계됐다.

자녀 연령별로 보면 취학 이전인 6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 중 맞벌이 비율은 38.1%로 가장 낮았다.

한편 주요 고용지표에서 남녀 간 격차가 30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작년 경제활동 참가율은 남성은 73.8%로 여성51.8% 보다 22.0%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고용률은 남성이 71.1%로 여성보다 21.2%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 기준으로 15~54세 기혼 여성 중 취업을 하지 않은 여성은 39.8%, 경력단절여성은20.6%에 달했다.

경력단절 이유로는 결혼이 가장 많았고 육아, 임신, 출산이 뒤를 이었다.

박리환 rpm9_life@etnews.com

최신포토뉴스

위방향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