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M9

문화예술
HOME > 문화예술 > ET-ENT영화

[ET-ENT 영화] ‘파도치는 땅’ 미화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발행일 : 2019-04-02 18:28:52

임태규 감독의 <파도치는 땅(The Land on the Waves)>은 1967년 납북 어부 간첩 조작 사건을 소재로, 국가 폭력으로 균열된 가족의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을 따뜻하게 그린 영화이다.
 
영화는 사건보다 정서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그 이후 그 일을 겪은 사람들과 가족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이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미화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는 감독의 의도를 영화 속에서 찾을 수 있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 간첩 조작 사건 자체보다는, 그 이후 그 일을 겪은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담았다
 
<파도치는 땅>은 1967년 납북 어부 간첩 조작 사건 자체를 파헤치기보다는, 그 이후 그 일을 겪은 사람들과 가족들이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영화는 막 빠른 속도로 이야기를 펼치면서 궁금증을 바로바로 해소해주지는 않는다. 실제로 사건이 일어난 당시는 시간이 빨리 지나갔을 수도 있지만, 그 이후의 기나긴 시간은 당사자들에게 매우 천천히 지나갔을 수도 있는데,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영화가 가진 호흡의 속도는 와닿는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영상도 다큐멘터리처럼 롱테이크로 진행되는 시간이 많다. <파도치는 땅>은 관객에게 생각할 시간과 마음의 여백을 충분히 준다. 하나의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도록 몰지 않는다는 점이 눈에 띈다.
 
◇ 은혜가 가진 미스터리, 은혜가 받은 오해
 
<파도치는 땅>에서 어느 날 갑자기 걸려온 전화 한 통은 잊고 지낸 상처의 기억을 수면 위로 떠오르게 만든다. 문성(박정학 분)은 학원 사업에 실패하고 자금을 마련하러 다니고, 그의 하나뿐인 아들 도진(맹세창 분)은 미국 유학을 중단하고 결혼하겠다고 고집을 부린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오랫동안 절연했던 아버지 광덕(전영운 분)이 위독하다는 연락을 받은 문성은 30여 년 만에 고향 군산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아버지를 간호하는 미스터리한 여인 은혜(이태경 분)를 만난다.
 
은혜에 대한 궁금증, 선입견, 오해는 문성뿐만 아니라 관객들도 가질 수 있다. 특히 영화를 보면서 이어질 이야기를 계속 상상하는 관객은 보상금과 관련된 선입견을 더더욱 가질 수 있다. 은혜가 받은 오해, 말하지 못한 억울했던 일을 알게 되면서 누구에게나 말 못 할 아픔이 있다는 점을 다시 떠올리게 된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왜 이제 찾아오셨어요?”라고 은혜가 문성에게 묻는 장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은혜의 분노를 폭발할 수도 있고, 문성을 크게 질책하거나 죄책감을 부여할 수도 있는 장면에서 감독은 확정적인 정서와 감정을 관객에게 주입하지 않는다. 이 영화의 톤을 이해한다면, 이 장면을 표현할 때 정말 많은 생각을 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 잊고 지냈던 역사의 상흔, 국가의 폭력이 남긴 삼대의 비밀, 미화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는 감독
 
<파도치는 땅>은 국가가 가한 폭력이 한 사람이 아닌 그 사람이 포함된 가족 전체에 준 영향을 정서적인 측면에서 담고 있다.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는 잊히지만, 본인과 가족들에게는 계속 남아있는 아픔과 슬픔, 고통과 편견에 관심을 가진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영화 속 삼대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서로 밀접하게 교류를 하고 지냈다면 지금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감독은 서로 교류하지 못한 가족의 관계성 또한 있는 그대로 존중하려고 한다.
 
감독은 이 영화를 만들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보다는 그냥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고 한 것 같다고 느껴진다. 날 것 그대로의 모습, 포장되거나 미화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삼대의 관계도 미화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파도치는 땅’ 스틸사진. 사진=아이 엠 제공>

자극적인 영화에 익숙해진 관객, 아름다운 영상을 원하는 관객, 명쾌하고 빠른 질주와 응징을 원하는 관객 등은 개인의 성향과 경험에 따라 다소 불편할 수도 있다. 관객이 편하게 느낄 수 있도록 불편한 점을 부드럽게 미화하지도 않았다는 점 또한 감독이 어떤 마음과 의도를 가지고 영화를 만들었는지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

최신포토뉴스

위방향 화살표